뒤처진 수도권·지방 구도심, 재개발·재건축 시동걸린다

전국판 신속통합기획인 정비구역 입안요청제가 추진되면서 수도권과 지방 구도심에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이 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사업성, 자금력 등 문제로 뒤처진 지역들이 재도약할 기회가 되면서다.
특히 연수지구는 지난해 재건축 연합회를 결성할 정도로 재건축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다.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연수구에서 정비사업이 추진 중인 곳은 청학동 96-4번지 일대 송도영남A 재건축, 옥련동 271-17번지 일대 옥련대진빌라 주변 재개발 등 2곳뿐이다. 정비구역 입안요청제 시행에 따라 정비사업을 추진하는 구역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경기 역시 1기 신도시 등 노후화한 도시가 몰려 있는 곳이다.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준공을 마친 구역을 제외하고 정비사업이 진행 중인 구역은 300개로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하는 조합설립 이전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곳은 169개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중 정비예정구역만 150개에 달하는데 지역별로 보면 △용인시 33개 △평택시 23개 △부천시 19개 △화성시 17개 등이다. 정비예정구역은 자치구가 노후도 등에 따라 재개발·재건축 필요성이 있는 곳을 지정한 것으로 그만큼 개발이 필요한 지역이 많다는 점을 의미한다.
부산 역시 노후 구도심이 포진해 있으나 사업성이나 입지가 좋아 대어로 꼽히는 해운대구 우동3구역 재개발, 수영구 남천2구역 재건축(삼익비치아파트) 등을 제외하면 소외된 구역들이 많다. 예컨대 부산진구 개금동 개금1구역과 사상구 주례동 주례1구역 재개발은 오랜 기간 사업에 진척이 없어 정비예정구역 해제 위기에 오른 곳이다. 이런 지역이 정비구역 입안요청제를 활용해 재도약할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경기 수원시의 경우 시 자체적으로 정비구역 입안요청제를 추진하면서 주민들의 관심이 뜨겁다. 실제로 조원동 741 일대, 우만1동, 매교세류(매교동·세류동), 삼성디지털시티, 영화동, 파장송죽(파장동·송죽동) 등이 정비구역 지정을 위해 주민 동의서를 받는 등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주민들이 원하는 시기에 정비구역으로 지정받을 수 있어 개발이 절실했던 주민들의 반응이 뜨겁다"며 "정부의 제도가 시행되면 이에 맞춰 그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다만 제도가 효과를 보려면 충분한 예산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한 정비업계 관계자는 "정비구역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용도·용적률·높이 등을 정하는 정비계획이 마련돼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전문업체 용역비 등 돈이 든다"며 "자금력이 부족한 구역에서 제도가 효과를 보려면 충분한 예산을 확보해 확실하게 지원해줘야 한다"고 했다.
댓글